공부 중 메모/컴퓨터 활용 능력 공부

컴활 1급 필기. 1. 컴퓨터 일반 (1) 운영체제

라이피 (Lypi) 2022. 12. 28. 19:28
반응형

 

▽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 윈도우즈10, 리눅스, 유닉스, 맥 같이 정보기기와 사용자를 이어주는 프로그램.

// ios나 안드로이드 등도 운영체제임.

 

▽ 특징

1. 관리기능 

1) 주변장치를 관리하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포함한다.

// 바이오스 : 컴퓨터의 기본적인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펌웨어이다.

// 가장 낮은 수준에서 컴퓨터(하드웨어)와 운영체제(소프트웨어)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 펌웨어(firmware) : 특정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2) 하드웨어와 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3) 시스템 메모리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한다.

 

2. 사용자를 위한 기능

1)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2) 프린터 등의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경우 공동 사용 및 스케줄링 기능 수행

3)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 사용을 돕고, 하드웨어 성능을 최적하는 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 목적, 성능 평가 항목

1) 사용 가능도 (시스템의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증대

2) 신뢰도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고 믿을 수 있게 처리하는지를 알아보는 척도) 증대

3) 처리 능력 (단위 시간 동안 작업을 처리하는 능력) 증대

4) 응답 시간(사용자가 작업을 요청한 후 결과를 얻을 때 까지의 시간) 단축

 

▷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기법들

1) 일괄 처리 시스템 (Batch Processing System) :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모았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Real Time Processing System) :

    처리할 데이터가 입력되면 즉시 처리하는 방식

3) 시분할 처리 시스템 (Time Sharing System) :

    CPU를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4) 다중 처리 시스템 (Multi-Processing System) :

    두 개 이상의 CPU를 가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

5)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 :

    하나의 CPU로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돌아가면서 처리하는 방식

6) 분산 처리 시스템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물리적으로 떨어진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기능과 자원을 분산시켜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7) 클러스터링 (Clustering)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처럼 사용하는 방식

8) 듀얼 시스템 (Dual System) :

    두 개 이상의 CPU가 동시에 같은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

9) 듀플렉스 시스템 (Duplex System) :

    두 개 이상의 CPU가 있지만 하나는 고장을 대비해 대기시켜뒀다가 사용하는 방식

10) 임베디드 시스템 (Embedded System) :

    가전제품 등에 들어가는 전자 시스템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제어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해 컴퓨터 기능을 수행함.

 

 

 

 

 

▽ 구성

1. 제어 프로그램 :

// 감시 프로그램 (시스템의 동작 상태 감시)

// 작업 관리 프로그램 (작업의 흐름을 계획, 제어)

//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가 표준 처리되도록 관리)

 

2. 처리 프로그램 :

// 언어 번역 프로그램 (원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

// 서비스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의 및 업무 효율성을 추구)

// 문제 처리 프로그램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

 

 

 

/// 컴활 시험에서 크게 중요한 부분은 아니지만 운영체제론 공부했던거 살짝 생각나서 자세히 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