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518

유클리디아 2-6 공략

문제 힌트 해답 L목표 달성 E목표 달성 풀이 L목표 달성 1. 주어진 점C를 중심으로 하는 원C를 직선A와 두개의 교점이 갖도록 그린다. - 원C와 직선A의 교점E와 F가 생겼다. 2. 선분EF에 대한 수직이등분선을 긋는다. E목표 달성 1. 직선A의 임의의 점D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D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D를 그린다. 2. 직선A의 임의의 점E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E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E를 그린다. - 원D와 E의 교점F가 생겼다. 3. 점C와 점F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 해설 L목표 해설 # 선분EF는 원C의 현이다. 그리고 직선GH는 현EF에 대한 수직이등분선이다. (도구의 정의) # 현의 수직이등분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 추가 해설 # 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

유클리디아 2-5 공략

문제 힌트 해답 풀이 1. 직선AC를 긋는다. 2. 직선BD를 긋는다. - 직선AC와 BD의 교점F가 생겼다. 3. 직선EF를 긋는다. 해설 # 점F는 사각형의 중점이다. 사각형의 중점과 사각형 밖의 한 점을 이은 직선은 사각형을 이등분한다. # 라지만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으므로 합동인 도형들로 사각형 IDCJ와 AIJB의 넓이가 같음을 확인해보자. # 직선EF와 선분AD가 만나는 교점I와 직선EF와 선분BC가 만나는 교점J와 점I와 J에서 올린 수선의 발이 이루는 사각형KILJ에 의해 선분IF와 JF의 길이는 같다. (선분IJ가 사각형KILJ의 대각선이고, 점F는 원래 사각형의 중점이자 사각형KILJ의 중점이기도 하다.) # 삼각형ABF와 DCF는 SSS합동이다.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

21. 그래프(Graph) 개요

그래프의 정의 # 그래프G는 각각 공집합이 아닌 정점의 집합V와 간선의 집합E의 집합이다. 그래프G=(V,E)로 표시한다. # 정점이란 데이터가 저장되는 노드를 의미한다. 그래프G의 정점들의 집합V는 V(G) = {A,B,C,...}로 표현한다. # 간선이란 두 정점을 이은 선으로 데이터와 데이터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그래프G의 간선들의 집합E는 E(G) = {(A,B),(A,C),(B,C)...}로 표시한다. 그래프의 분류 1. 방향성 유무에 따른 분류 # 비방향성 그래프(undirected graph) : 간선에 방향이 표시되지 않은 그래프. 간선(A,B)와 간선(B,A)가 서로 같은 간선을 가리킨다. # 방향성 그래프(directed graph 또는 digraph) : 간선에 방향이 표시된 그래프...

유클리디아 2-4 공략

문제 힌트 해답 L, E 목표 동시 달성 1 L, E 목표 동시 달성 2 V목표 달성1 풀이 L, E 목표 동시 달성 1 1. 점A를 중심으로 하는 원A를 그린다. -점A와 각A의 두 변과의 교점D, E가 생겼다. 2. 점D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DE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D를 그린다. - 원A와 D의 교점F가 생겼다. 3. 점A와 점E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 L, E 목표 동시 달성 2 1. 각A의 한 변 위에 한점D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D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D를 그린다. - 원D와 각A의 반대편 변과의 교점E가 생겼다. 2. 점A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AE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A를 그린다. - 원D와 원A의 교점F가 생겼다. 3. 점A와 점F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V 목표 달성 1 1. 점A를 중심으로..

유클리디아 2-3 공략

문제 힌트 해답 L목표 달성 L,E목표 동시 달성 V목표 달성 풀이 L목표 달성 1. 반직선A의 임의의 위치에 점C를 잡고 점C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 C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2. 점A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A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 두 원의 교점D가 생겼다. 3. 각DAC를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을 그린다. LE목표 달성 1. 반직선A의 임의의 위치에 점C를 잡고 점C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C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 반직선 A와 원C가 만나는 교점D가 생겼다. 2. 점D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DC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D를 그린다. - 원C와 원D의 교점E가 생겼다. 3. 점A와 점E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 V목표 달성 1. 반직선A의 임의의 위치에 점C를 잡고 점C를 중..

16. 행렬(3) - 행렬 클래스 구현

// 구현 예시임 header struct float2x2 { union { struct { float _11, _12; float _21, _22; }; float m[2][2]; float2 _1, _2; }; float2x2(); float2x2(float2 __1, float2 __2); //복사연산자 기본값으로 정의 float2x2(const float2x2&) = default; float2x2(float2x2&&) = default; //대입연산자 기본값으로 정의 float2x2& operator= (const float2x2&) = default; float2x2& operator= (float2x2&&) = default; }; struct float3x3 { union { struct ..

15. 벡터(4) - 벡터 클래스 구현

// 그냥 "이런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의 수준이므로 실제 사용은 상용 라이브러리를 쓸 것을 권장. DirectXMath.h라던가... xnamath.h라던가...// 그러므로 include문은 생략. header struct float2 { union { struct { float x, y; }; float f[2]; }; float2(); float2(float _x, float _y); }; struct Vector2 : float2 { static const Vector2 Zero2; static const Vector2 UnitX2; static const Vector2 UnitY2; //생성자 Vector2(); explicit Vector2(float x); Vector2(float x,..

유클리디아 2-2 공략

문제 2.2 각의 이등분선들의 교점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들이 교차하는 점을 작도하세요. 해답 L목표 달성 E목표 달성 풀이 L목표 달성 1. 각BAC의 각이등분선을 긋는다. 2. 각ABC의 각이등분선을 긋는다. 3. 두 직선의 교점을 찍는다. E목표 달성 1. 점A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AB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A를 그린다. - 선분AC와 원A의 교점 E가 생겼다. 2. 점B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B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B를 그린다. - 선분BC와 원B의 교점 D가 생겼다. 3. 점D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BD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D를 그린다. - 원A와 D의 교점 F가 생겼다. 4. 점B와 F를 잇는 직선을 긋는다. 5. 점E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E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E를 그린다. - 원B와 E의 교..

유클리디아 2-1 공략

문제 힌트 1. 두 변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을 이등변삼각형이라 한다. 이 때, 주로 다른 변과 같지 않은 한 변을 밑변이라고 한다. 2.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의 양쪽 각의 크기는 같다. 3. 밑변의 대점에서 밑변으로 수선을 내리면 이 수선은 대점이 이루는 각과 밑변을 이등분한다. 해답 L목표, E목표 동시 달성 E목표 달성 풀이 L,E목표 동시 달성 1. 주어진 점A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하나 그린다. -> 원A와 각A의 두 반직선의 교점C,B가 생겼다. 2. 점C와 B의 수직이등분선을 긋는다. E목표 달성 1. 주어진 점A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하나 그린다. -> 원A와 각A의 두 반직선의 교점C,B가 생겼다. 2. 점B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BA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린다. 3. 점C를 중심으로 하..

14. 행렬(2) - 역행렬과 그 외...

단위행렬(Identity Matrix) # [A]가 정방행렬이고, i=j일 때, aij가 1이면 [A]를 단위행렬이라 한다. 기호로는 E나 I로 표시한다. (본 블로그에서는 단위행렬을 [1]로 표시한다.) # 나머지는 그냥 위의 이미지로 확인하자. 지금으로서는 중요하지 않다. # [1]*[A] = [A]*[1] = [A]. // 즉, 단위행렬은 행렬의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다. 역행렬(Inverse Matrix) # 일단 [A]의 역행렬을 [A]-1로 표시하기로 하자. # [A] * [B] = [1] 일 때 [B] = [A]-1이다. 즉 [A]-1은 곱셈에 대한 [A]의 역원이다. # 역행렬을 계산하는 것은 꽤나 까다로운 문제이다. // 밑에서 다룬다. 전치행렬(Transposed Matrix) # [A]..

반응형